Database

요즘 보통 캐시라는 기술이 곧 레디스다 라고 불릴만큼 레디스는 캐시로 많이 사용되는데요,레디스가 어떤 기술이길래 캐시로 사용되는지 레디스의 또 다른 강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캐시란? 우선 캐시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볼텐데, 캐시의 정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임시로 저장하는 고속 저장소를 의미하고 빠르게라는 모호한 의미를 조금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원격 디스크 저장소(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메모리(RAM)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빠르게 접근하는 기술입니다. 캐시는 정말 다양하게 활용되지만,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는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상품 조회 같은)를 캐시에 올려두고 접근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사례가 있습니..
우리는 수업 과정을 통해 Database 라는 저장소를 배우게 되고, Table 이라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을 배우게 됩니다. 보통 우리는 다양한 정보를 공통의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는 하나의 테이블에 저장하게 되는데, 여기서 테이블에 대한 조회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워드가 바로 인덱스라고 합니다. 인덱스는 다른 말로 색인이라고 불리는데, 색인 과정을 통해 우리는 특정 데이터에 대한 조회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덱스의 개념인덱스 = 색인 과 같은 의미로, DB의 Table에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조회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인덱스는 주로 SELECT 쿼리에서 사용하는데, DB 사용의 70%는 읽기인 만큼 인덱스는 조회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iron_jin
'Database'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