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AWS EventBridge란? Event는 특정 작업이 수행될 때 그에 따른 부가 작업이 수행되는 서비스를 말하며, 이 Event는 작업의 순서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일정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는 유동적인 기능입니다. AWS 에서는 이 이벤트 버스, 일정 스케줄링, 파이프라인 등을 통해서 특정 작업을 Trigger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EventBridge라는 기능을 제공하는데요, EventBridge의 기능 중에 보통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일정 관련 스케줄링을 설정하는 서비스를 알아보려합니다. AWS 일정 관리 우리는 흔히 스케줄링이라고 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특정 시간에 반복적으로 동작하는 서비스를 구성할 떄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일정 관리 설정 [EventBridge]의 [일정] 메..
AWS Batch란? AWS에서 제공하는 작업 관리 서비스로, 대량의 배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AWS 서비스와 긴밀한 결합 및 호환성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작업 관리 서비스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단일 작업이면 람다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지 않나? 보통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람다를 많이 도입하지만, 람다의 경우 가벼운 실행 환경이나 짧은 시간을 요구하는 방식에서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람다의 경우 실행 시간이 15분이 넘어가면 안 되기 때문에 단발성으로 장시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람다를 사용하지 못 하게 됩니다. 배치 작업의 경우, EC2 / Fargate 기반의 Spot Instance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버리스가 아닌 컨테이너 기반이지만, 장시간 실행이 가능하고 스케일업이 가능한 특징을 ..
ECR Registry란? AWS에서 제공해주는 완전 관리형 컨테이너 저장소로,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 기반의 이미지를 AWS상의 외부 저장소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ECR을 왜 사용할까? 첫 째로, 우리가 배포하고자 하는 서버의 이미지를 저장할 외부 공간을 대여하기 위해서입니다. 로컬에서 빌드 과정을 거치고 로컬상의 도커허브에 푸쉬하고 관리하는 경우 외부 이미지 저장 공간이 필요하지 않지만, 우리의 서버를 AWS EC2 등의 서버에서 컨테이너 기반으로 배포하고 싶을 때는 로컬 도커 허브 저장소를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를 위해 AWS에서는 Github이라는 외부 소스 저장소를 제공하듯이, 서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저장소인 EC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둘 째로, AWS 기..
AWS 인스턴스 생성 기본 설정 위 사진의 순서에 맞게 서버의 이름 / OS / AMI를 선택한다 개인적인 프로젝트라면 3 번 항목을 참고하여 프리티어로 사용해야 과금이 덜 나가게 된다 키 페어 생성 [키 페어(로그인)] 항목의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두 번째 사진처럼 팝업이 뜬다 키 페어의 이름과 암호화 유형 파일 형식을 설정하고, 생성을 하면 [다운로드 경로]에 지정한 이름과 확장자로 파일이 생성된다. 해당 파일은 ~/.ssh 경로에 옮겨두자 (만약 해당 폴더가 없으면 생성해서 넣어두자) 그 외 설정 VPC 네트워크 관련 설정과 스토리지 설정은 우선 기본으로 설정하고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생성 확인 처음 생성이 됐을 때, [인스턴스 상태]가 대기중으로 표기되어 있고 이 상..
· 인프라
1. 작성 계기 백엔드 서버 개발을 진행하면서 젠킨스를 사용하긴 하지만 직접적인 구축에 대해서는 블랙 박스였기 때문에 장애 처리에 대한 미흡한 점이 많았다. 백엔드 개발자에 대한 내 개인적인 수준은 인프라적인 부분까지 어느정도 구축할줄 알아야한다고 생각했다. 기존에 Kubernetes & Jenkins 구축을 Vagrant 환경에서 해봤는데, 맥 & 로컬에서 스터디하기 너무 까다로워서 Docker Desctop 기반으로 쉽게 스터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었고, 이슈없이 한 번에 구축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2. Kubernetes 환경 구성 로컬에서 개인저인 학습을 위해 Docker Desctop 위에 Kubernetes 환경을 구축했다. Docker Desctop의 설정 메뉴에서 아래 사진에 보이는 ..
서론 사내 클라우드 서비스 모니터링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서 Naver / KT / AWS 클라우드를 연동하게 되었다. 대중적인 AWS와는 달리 네이버와 KT는 예시 코드가 부족하여 직접 삽질하면서 얻은 결과물을 정리해야겠다고 판단하여 작성하게 되었다. API 연동 api 연동은 Rest API와 네이버 클라우드 공식 가이드를 참고하여 진행했다. [네이버 클라우드 API 가이드 홈페이지] 기본적인 signature 만드는 방식에 대해서는 가이드 문서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가이드 문서 참고! Java 예시 코드 @Autowired protected RestTemplate restTemplate; /** * ncloud 서버 리스트를 조회한다. * * @return Map * @author 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