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인스턴스 생성
기본 설정
- 위 사진의 순서에 맞게 서버의 이름 / OS / AMI를 선택한다
- 개인적인 프로젝트라면 3 번 항목을 참고하여 프리티어로 사용해야 과금이 덜 나가게 된다
키 페어 생성
- [키 페어(로그인)] 항목의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두 번째 사진처럼 팝업이 뜬다
- 키 페어의 이름과 암호화 유형 파일 형식을 설정하고, 생성을 하면 [다운로드 경로]에 지정한 이름과 확장자로 파일이 생성된다.
- 해당 파일은 ~/.ssh 경로에 옮겨두자 (만약 해당 폴더가 없으면 생성해서 넣어두자)
그 외 설정
- VPC 네트워크 관련 설정과 스토리지 설정은 우선 기본으로 설정하고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생성 확인
- 처음 생성이 됐을 때, [인스턴스 상태]가 대기중으로 표기되어 있고 이 상태가 실행중 으로 바뀌면 인스턴스 접속이 가능하다
EC2 접속
EC2 IP 확인
- 생성 된 EC2 인스턴스의 IP 정보를 확인한다.
- 이 IP를 통해 해당 인스턴스로 접속 가능하다.
pem 키를 통한 SSH 접속
- EC2를 생성하면서 만들어준 pem키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EC2에 접속한다
- 명령어 ) ssh -i ~/.ssh/${pem 키 파일 이름}.pem ubuntu@3.39.193.130(본인의 EC2 IP)
- 만약 os가 ubuntu가 아닌, AWS AMI를 사용한다면 ec2-user@~ 를 통해 접속해야 한다.
- 예외 상황
- 다음과 같이 EC2 접속 시에 Permission Denied (Publickey)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 pem 키가 EC2에서 설정한 키와 다르거나
- pem 키에 대한 권한 설정이 안 되어 있을 경우
- pem 키에 대한 권한 설정 방법
- chmod 400 ${파일_경로}
- 다음과 같이 EC2 접속 시에 Permission Denied (Publickey)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접속 확인
Security Group 설정
설정하는 이유
- EC2 인스턴스를 만들게 되면, 기본적으로 요금이 부과된다. (AWS에서 서버를 대여하는 것이기 때문)
- 또한, Public IP를 기본으로 제공해주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 이게 왜 문제가 되냐면, 전부터 서버 대여에 관한 이슈로 Ddos 등의 해킹 위험으로 인해 엄청난 요금이 부과됐다는 뉴스가 많이 보인다.
- 따라서 외부 접속 IP를 제한하는 것을 추천하고, 이를 위한 Security Group을 통해 EC2 접근을 제한하려 한다.
설정 방법
- EC2 인스턴스를 보고 있는 화면에서 왼쪽 메뉴의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 그룹] 메뉴를 클릭하고, [보안 그룹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 보안 그룹의 이름과 설명을 작성하고, VPC 정보는 현재 구성 된 정보를 사용한다
- VPC는 처음에 기본으로 생성 된 네트워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따로 생성 x
- [규칙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 [유형] 항목에는 사용자 지정 TCP를 선택
- [포트 범위] 항목에는 8000(Django 서버 모듈을 띄울 Port 번호)를 작성
- [소스] 항목은 가장 중요한데
- 외부 접속을 제한할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IP만 허용하도록 할 것이다
- [내 IP 확인] <- 클릭하여 현재 자신의 IP를 확인하고, 다음과 같이 적어준다
- ex) 내 IP가 172.1.1.135일 때, 172.1.1.135/32
- [아웃바운드 규칙] 항목은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제어하는데, 우선은 모두 허용해두고 [보안 그룹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생성 확인
Security Group을 EC2에 적용
보안 그룹 변경
- 생성 된 인스턴스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하여, 다음 사진의 [보안 그룹 변경]을 클릭한다
- [보안 그룹 변경] 화면에서 [연결된 보안 그룹] 항목의 [검색 바]를 클릭하여 생성해준 보안 그룹을 선택하고 [보안 그룹 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저장] 버튼을 누른다
변경 확인
반응형
LIST
'인프라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ventBridge로 스케줄링 작업 구성 (0) | 2025.02.15 |
---|---|
AWS Batch를 통한 작업 정의 (0) | 2025.02.15 |
AWS ECR Registry로 이미지 관리하기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