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Settings

Spring을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 버전업이 많이 진행돼서 기존에 사용하던 버전이 레거시가 될 수도 있고 새로운 버전에서 지원해주는 강력한 기능을 사용하고 싶어서 마이그레이션 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버전업을 요구하는 상황이 올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어떤 부분을 수정하는 게 좋을지를 미리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버전 마이그레이션을 학습해보려 합니다. 마이그레이션 요구사항항목현재 버전변경 버전JDK1.817Gradle5.6.X8.3SpringBoot2.1.X3.1.4 시작 템플릿 build.gralde의존성은 간단하게 spring-boot-starter-web과 롬복 정도만 구성했습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
스프링에서는 XML에서 리소스 경로를 추가해줘야했기 때문에, 스프링 부트에서 리소스 경로를 어떻게 잡아줘야할지 찾아보게 되었고, 스프링 부트의 편리함을 다시 한 번 느낀다.. - 우선 스프링 부트는 [spring-boot-web-starter]에서 이러한 경로들을 미리 잡아준다 - 필요한 정보만 적어보자면, 리소스 경로가 /resources/static/** 이렇게 잡혀있기 때문에 우리가 html이나 jsp에서 리소스 경로를 추가하려면, 저 밑에 폴더와 파일을 생성해주면 된다. - 아래는 내가 설정한 리소스 경로 사진과 실제 적용 코드이다.
프로젝트 만들기(feat. IntelJ) - web만 의존성 체크 후 Next - [auto-import]를 체크해주지 않으면, gradel.duild가 변경되어도 자동으로 빌드가 안된다.(수동으로 빌드를 눌러야함!) 프로젝트 실행 셋팅 - 스프링 부트 플러그인 추가 Gradle - Wrapper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gradle-wrapper에 의해 해당 프로젝트에 gradle이 자동으로 설치됨 - gradle 멀티 프로젝트 구성 : 멀티 프로젝트를 구성하면,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지고 한 서비스에 관련된 여러 프로젝트를 마치 하나의 통합 프로젝트처럼 관리할 수 있다 - [setting.gradle]에 다음과 같이 루트 프로젝트를 추가 - 테스트로 사용할 demo-web 모듈 생성 - ..
-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에 비해서 간단한 설정만으로 프로젝트를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 보통 Web Application에서 스프링을 사용할 때는 Spring-Context에서 제공하는 DI 외에도 시큐리티,JDBC,MVC 등 의 다양한 모듈의 설정을 적용한 후 사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초반에 설정 오류로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다. - 기존에 스프링을 사용할 때는 dependency를 추가할 때도 library 버전을 명시해 줘야하지만, 스프링 부트는 설정을 위임하고, 버전 관리도 스프링 부트에 의해 관리된다. - spring-boot-dependencies 스프링 부트의 특징 - Embeded tomcat, jetty, UnderTow를 사용하여 독립 실행이 가능한 스프링 app ..
DispatcherServlet[WEB-INF] 디렉토리 아래 [web.xml] 이라는 톰켓 설정 파일에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은 설정이 있는데, 스프링 프로젝트가 실행되면 가장 먼저 [web.xml]을 읽고 위에서부터 태그를 해석한다.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root-context.xml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appServle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1 ..
iron_jin
'Spring Framework/Setting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