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findAll()은 어떻게 쿼리 결과를 객체로 파싱할까? (feat. 메서드 호출 과정)

2023. 11. 17. 23:53· Spring Framework/JPA
목차
  1. [SimpleJpaRepository] 
  2. [Query]
  3. [AbstractSelectionQuery]
  4. [QuerySqmImpl]
  5. [ConcreteSqmSelectQueryPlan]
  6. [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
  7. [ListResultConsumer]
  8. [StandardRowReader]
  9. [AbstractEntityInitializer]
  10. [AbstractEntityPersister]
반응형

[SimpleJpaRepository] 

  • findAll() 메서드에서 getQuery 호출을 통해 Query 객체를 가져온다. 이 객체는 Hibernate를 통해 객체를 쿼리 형식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 Query 객체를 가져오는 과정에 대해서는 따로 작성하는게 좋을 것 같아서 배제하게 되었다.
  • Query 객체에서 getResultList()를 호출하여 타입에 해당하는 결과 목록을 조회한다.

 

[Query]

  • list() 함수를 통해 가져오게 되는데, 이는 Query를 구현한 AbstractSelectionQuery 클래스에 있다.

 

[AbstractSelectionQuery]

  • 메서드 내부에서 doList()를 조회하는데, 이는 AbstractSelectionQuery를 구현한 QuerySqmImpl 클래스에 있다.

 

[QuerySqmImpl]

  • doList() 메서드 내부에서 여러 처리 로직이 있는데, 실제 쿼리 조회 결과 파싱을 담당하는 아래 빨간 박스에 표기 된 performList()를 따라가보자.

 

[ConcreteSqmSelectQueryPlan]

  • withCacheableSmInterpretation() 메서드 하단부에 interpreter는 해당 클래스를 처음 생성할 때, 람다로 호출하여 주입해준다.

  • 생성자 선언부에서 interpreter를 람다로 선언해주는 부분이다.
  • 내부에서 return할 때, list() 메서드를 호출해주는데 이 부분을 따라가보자.

 

[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

  • 해당 클래스 내부에서 executeQuery() 호출을 통해 결국 doExecuteQuery()를 호출한다.
  • resolveJdbcValuesSource() 호출을 통해 쿼리를 실행하고 나온 결과 값을 가져온다.
  • 이 결과 값을 여러 과정을 거친 후 아래 consume() 을 통해 결과 값을 파싱하게 된다. 이 중간 과정은 Entity 타입 Wrapper를 만들고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 등 부가적인 작업들이 많고, 본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넘어간다.

 

[ListResultConsumer]

  • consume() 메서드를 호출하는 클래스 내부를 보면, 아래 results가 엔티티의 결과 값들이 파싱되어 들어가는 변수다.
  • 아래 코드 분기문을 보면, 어떤 분기를 처리하던 간에 rowReader에서 가져온 값을 results에 넣어주게 된다.
  • 따라서 이 부분이 결과 값을 하나씩 읽어가며 파싱하는 부분이라 볼 수 있고, 이 부분을 따라가보자

 

[StandardRowReader]

  • readRow() 메서드 내부 coordinateInitializers() 메서드에서 현재 Row에 대한 결과 값을 엔티티에 바인딩해주는 초기화 작업을 모아놓았다.
  • 아래 initializers에 해당하는 메서드들이 엔티티에 값을 바인딩 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AbstractEntityInitializer]

  • 위 initializers는 EntityInitializer를 가리키고 있는데 이는 AbstractEntityInitializer의 확장 클래스다.
  • 이 클래스 내부에서 initializeInstance -> initializeEntity -> initializeEntityInstance 메서드로 이동해가면, 아래 setPropertyValues() 라는 메서드에서 엔티티에 쿼리 결과 값을 매칭 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AbstractEntityPersister]

  • 위 initializer 클래스에서 concreateDescriptor는 SingleTableEntityPersister 타입이고, 이는 AbstractEntityPersister의 확장 클래스다. setPropertyValues() 메서드는 이 추상 클래스에 들어있다.
  • 메서드 내부를 보면 빨간 박스 부분에서 엔티티에 대한 fetching된 결과 목록을 반복문을 통해 파싱 해 주고 있다.
  • 두 번째 사진을 보면 테이블 필드에 해당하는 값인 mappedColumnExpression과 엔티티 프로퍼티에 해당하는 값인 name이 존재하는데, 이 두 값을 비교하며 엔티티에 쿼리 값을 매칭하여 넣어주게 된다.

반응형
LIST

'Spring Framework > J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JPA QueryDSL 의존성 querydsl-apt는 왜 필요할까?  (0) 2025.03.21
JPA @DataJpaTest - 환경구성  (0) 2023.12.12
Hibernate 6.2 업데이트 시, Kotlin @OneToMany 제네릭 타입 이슈  (0) 2023.10.24
[Spring Boot JPA] JPA란 무엇일까?  (0) 2020.05.12
JPA - 환경설정(feat. 스프링 부트)  (0) 2019.08.21
  1. [SimpleJpaRepository] 
  2. [Query]
  3. [AbstractSelectionQuery]
  4. [QuerySqmImpl]
  5. [ConcreteSqmSelectQueryPlan]
  6. [JdbcSelectExecutorStandardImpl]
  7. [ListResultConsumer]
  8. [StandardRowReader]
  9. [AbstractEntityInitializer]
  10. [AbstractEntityPersister]
'Spring Framework/J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Boot] JPA QueryDSL 의존성 querydsl-apt는 왜 필요할까?
  • JPA @DataJpaTest - 환경구성
  • Hibernate 6.2 업데이트 시, Kotlin @OneToMany 제네릭 타입 이슈
  • [Spring Boot JPA] JPA란 무엇일까?
iron_jin
iron_jin
배운 것에 대한 내 생각을 가지고 정리하자
學而不思則罔(학이불사즉망)배운 것에 대한 내 생각을 가지고 정리하자
iron_jin
學而不思則罔(학이불사즉망)
iron_jin
전체
오늘
어제
  • 전체 (162)
    • 도서 (10)
    • 생각 정리 (0)
    • 후기 모음 (14)
    • 언어 (19)
      • css (1)
      • java (9)
      • Kotlin (0)
      • javascript (0)
      • Solidity (3)
      • Python (3)
      • GO (3)
    • Spring Framework (32)
      • spring (16)
      • JPA (6)
      • Error (4)
      • Settings (4)
    • 알고리즘 (62)
      • 이론 (0)
      • 연습문제 (58)
    • 인프라 (6)
      • 클라우드 (1)
      • 도커 (0)
      • AWS (4)
      • Elastic Search (0)
    • 쿠버네티스 (3)
      • 이론 (0)
      • 실습 (2)
      • 트러블슈팅 (1)
    • Nginx (2)
    • CS (0)
      • 서버 (0)
      • 리눅스 (2)
      • 네트워크 (0)
      • OAuth (2)
    • 형상관리 (3)
      • GIT (3)
    • Open API (3)
      • 카카오 API (1)
      • QGIS (2)
    • 보안 (0)
      • 알고리즘 (0)
    • 공통 (1)
      • 성능 관리 도구 (1)
    • Database (2)
      • MySQL (1)
      • Redis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항해플러스
  • 자바
  • 알고리즘
  • JPA
  • 2019 kakao
  • 2019 카카오
  • MySQL
  • 항해99
  • 스프링
  • 백준
  • 2018 카카오 블라인드
  • Hibernate
  • SpringBoot
  • 코딩테스트
  • AWS
  • Java
  • spring boot
  • 2020 카카오
  • 도메인 주도 개발
  • 2020 kakao
  • 프로그래머스
  • Python
  • spring
  • 2018 kakao
  • 2020 카카오 블라인드
  • 에릭 에반스
  • 스프링 부트
  • ddd
  • 2019 카카오 블라인드
  • 카카오 겨울 인턴십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2
iron_jin
JPA findAll()은 어떻게 쿼리 결과를 객체로 파싱할까? (feat. 메서드 호출 과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