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어노테이션으로 트랜잭션을 걸어보려고 한다. [context-datasource.xml]에 다음 소스와 같이 추가 어노테이션에 대한 설명 -> @transactional 설명- readOnly의 기본값은 false- 스프링의 트랜잭션은 Service 계층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BoardServiceImp.java] package com.sts.hello.service;import java.util.List;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import ..
트랜잭션이란?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작업(select,insert,update,delete)의 단위 - 2개 이상의 쿼리를 하나의 커넥션으로 묶고, DB에 전송하고 이 과정에서 오류가 날 경우 모든 과정을 되돌림 - 하나 이상의 쿼리에서 동일한 Connection 객체를 유지하는 것 - DB와 JAVA언어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원자성을 부여하는 작업스프링에서의 트랜잭션이란? - 다이나믹 프록시와 AOP 기술을 통해 트랜잭션을 통제할 수 있음.스프링에서 트랜잭션을 설정하는 방법? 1. xml 2. @어노테이션 3. AOP에 의한 트랜잭션 선언우선은 xml에서 트랜잭션을 설정하는 방법을 해보려고한다. [context-datasource.xml]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