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배운 것에 대한 내 생각을 가지고 정리하자
이전글에는 스프링 mvc 게시판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셋팅을 다루었고, 오늘 글에서는 Controller부터 DB작업까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 기본 패키지 아래에 controller, service, dao 패키지를 만들어 주었다. - 프로젝트 패키지의 구성은 아래처럼 나눌 수도 있고, 업무 단위로도 나눌 수 있다고 한다.(e.g 로그인, 쇼핑 등등) - 패키지를 만들었으면, service와 dao 패키지에 service와 dao Interface를 먼저 만들어주고, - 각 패키지에 각각의 interface를 구현한 class를 아래 그림과 같이 만들어 준다. - service 인터페이스 소스 - 처음 인터페이스를 만들면 텅텅 비어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메서드를 작성해준다 p..
MVC 프로젝트 만들기 - [file] -> [New] -> [Spring Legacy Project] 클릭 - [project name]에는 생성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이름을 입력 - [Templates] -> [Persistence] -> [Spring MVC Project] 클릭 - [Next] 클릭 - [Finish]를 클릭하면, MVC 프로젝트가 생성이 된다. - 아래 소스는 [Web.xml]인데, 톰켓이 실행이 되고 url 요청이 들어오면, 서블릿 매핑에 의해 그 요청을 처리하고, 첫 번째로는 [servlet-context.xml]을 로드하고, 두 번째로 [root-context.xml]을 로드하게 된다. contextConfigLocation /WEB-INF/spring/root-contex..
· 언어/java
자바 개발 환경을 셋팅하다보면, 항상 저 세가지 JDK 패키지 중에 뭐를 선택해야할지 몰라서 검색해보곤 했다. EE(Entiprise Edition) - 자바의 기업용 배포판 - 자바를 사용해서 서버를 구축하거나 응용 개발을 위한 플랫폼 SE(Standard Edition) - 자바 표준 배포판 -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 데스크톱과 서버응용 개발 플랫폼 ME(Micro Edition) - Smart Phone, PDA, 셋탑박스 등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하드웨어에서의 응용 개발을 위한 플랫폼 - 제한된 리소스, 메모리나 저장 공간에 제한이 있는 기기에 적합 - Embeded나 가전 제품을 위한 API를 가지고 있음
· 언어/java
자바를 공부하면서 당연스럽게 다운받고 사용했던, jdk와 jre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한다. JDK는 무엇인가? - Java Development Kit의 약자이며, 자바 application 구축을 위한 핵심 플랫폼 구성요소이다. JRE는 무엇인가? - Java Runtime Environment의 약자이고, 자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구들로 구성된 패키지 이 두가지의 특징만을 가지고, 이해하려 했을 때는 이해가 잘안되서 이 관계를 자바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구조에 맞춰서 써보면, -자바 프로그램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3가지 기술이 필요한데, 이 세가지는 jdk, jre,jvm이다. - 이 중 jvm은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자바 플랫폼의 구성요소이고 - jre는 jvm을 생성하는 디스크 상의 부분..
프로젝트 만들기(feat. IntelJ) - web만 의존성 체크 후 Next - [auto-import]를 체크해주지 않으면, gradel.duild가 변경되어도 자동으로 빌드가 안된다.(수동으로 빌드를 눌러야함!) 프로젝트 실행 셋팅 - 스프링 부트 플러그인 추가 Gradle - Wrapper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gradle-wrapper에 의해 해당 프로젝트에 gradle이 자동으로 설치됨 - gradle 멀티 프로젝트 구성 : 멀티 프로젝트를 구성하면,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지고 한 서비스에 관련된 여러 프로젝트를 마치 하나의 통합 프로젝트처럼 관리할 수 있다 - [setting.gradle]에 다음과 같이 루트 프로젝트를 추가 - 테스트로 사용할 demo-web 모듈 생성 - ..
-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에 비해서 간단한 설정만으로 프로젝트를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 보통 Web Application에서 스프링을 사용할 때는 Spring-Context에서 제공하는 DI 외에도 시큐리티,JDBC,MVC 등 의 다양한 모듈의 설정을 적용한 후 사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초반에 설정 오류로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다. - 기존에 스프링을 사용할 때는 dependency를 추가할 때도 library 버전을 명시해 줘야하지만, 스프링 부트는 설정을 위임하고, 버전 관리도 스프링 부트에 의해 관리된다. - spring-boot-dependencies 스프링 부트의 특징 - Embeded tomcat, jetty, UnderTow를 사용하여 독립 실행이 가능한 스프링 app ..
- [백터] -> [도형 도구] -> [버택스 추출]을 눌러보면 아래와같이 무수히 많은 점들이 촘촘히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이렇게 무수히 많은 점들이 연결되어 있는 shp파일을 json으로 바꾸게 되었을 때, 용량이 엄청 커지게 되고 이렇게 용량이 큰 파일을 사용하게 될 경우 서버가 부담스러워 한다. 그리고, 폴리곤을 그리기 위해 행정지역 파일을 사용하는 입장에서 이렇게 자세히 연결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 그래서 이제 이 점들의 연결을 느슨하게 바꿔주는 [단편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 우선 [백터] -> [도형 도구] -> [단순화]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온다. - [허용 오차]라는 부분이 이제 우리가 조절할 부분인데, 이부분의 조절을 통해서 연결을 느슨하게 해준다...
카카오 지도 api를 사용하여 폴리곤을 만드는 도중, 행정구역에 대한 좌표가 필요했고, 이에 맞는 정보를 찾다가 QGIS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json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글을 보았고, 이와 관련하여 여러 블로그 정보를 보고 정리를 하였다. 1. 행정구역에 대한 파일 얻기(feat. shp파일) - 이 행정구역 좌표에 대한 정보는 gisdeveloper [레이어 추가] -> [백터 레이어 추가]를 눌러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이제 여기에서 '백터 데이터셋'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의 맨 오른쪽 ...을 클릭해서 파일을 추가해 줄건데, shp파일과, shx 파일 두가지를 다음과 같이 클릭해서 [열기]를 클릭한 후 위 화면의 [추가]를 누르고 [닫기]를 눌러주자. - 그러면 아래와 같은 지도가 ..
iron_jin
學而不思則罔(학이불사즉망)